2023 제3회 신영문화재단 건축문화상 대상-구예찬

2023 제3회 신영문화재단 건축문화상에서
구예찬(16, 건축학)학생이 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주최>

신영문화재단


병치와 힘줄(Tendon of Juxtaposition)

서울의 풍경들의 공통점은 바로 ‘병치’이다. 옛것과 새것, 큰 것과 작은 것, 누추한 것과 세련된 것,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인 것이 한 풍경에 담긴다. 때로는 이상하리만큼 이질적인 시간들이 한 장면에 담기는 독특한 이 도시를 “병치 도시”라고 부를 만하다. 


그렇다면 왜 이런 도시가 만들어졌는가? 그것은 근현대 시기 이념들이 격동하던 한국의 특수한 역사를 반영하는데, 이념들이 도시에 물리적 흔적을 남기기 때문이다. 그중 효창공원은 근 100년의 시간성이 가장 압축적으로 병치 된 장소 중 하나이다. 문효세자의 묘인 효창원에서 시작된 이 장소를 일제가 골프장으로, 김구가 다시 독립 투사들의 묘지로, 김구를 시기했던 이승만이 운동장을 짓는 역사를 거쳤다. 이러한 이질성의 혼란스러움 때문인지, 묘소와 운동장 사이를 담장으로 구분하고, 서로가 서로를 외면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효창공원의 이질성이 새로운 건축적 감동이 될 수 없을까 고민한다. 그 대안으로 담장이 위치했던 묘지와 운동장 사이에 직선의 플랫폼을 제안한다. 운동장의 타원도, 묘지를 연상시키는 어떠한 형태도 아닌 단순한 직선은 이질적인 둘 사이에 중성적으로 배치된다.  


지상층 진입시에 방문자는 마치 전통 건축의 발과 같은 거대한 보를 보며 들어오게 된다. 이것은 수직부재를 최소화하고 수평적 투명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구조적 대안인 동시에 방문객을 어떠한 경험적 순간으로 인도한다. 거대한 보에 의해 묘지의 일부가 가려져 일부만 보이는 것이 보 가운데 서면 양옆으로 운동장과 묘지가 긴장감 있게 펼쳐진다. 3.6m 깊이의 거대한 보는 선박의 구조를 참조하여, 600mm 폭의 11개의 리브들에 의해 짜여 진다. 최대 48m의 스팬을 2개의 코어와 3개의 기둥만이 지지한다. 구조적 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경험적 순간은 병치된 시간을 극적으로 경험하게 한다.


한편, 지하에는 강당, 스터디룸, 미디어홀, 전시실 및 아카이브과 같은 부속 시설들이 들어서며, 지상의 스틸 구조의 매끈함과 대비되는 거친 콘크리트의 ‘땅속’이 등장한다. 재료의 물성과 빛의 효과는 지상과 완전히 다른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박공 지붕 형태의 강당, 반원형 공간의 전시실, 미로 공간의 미디어홀은 지상에서 경험할 수 없는 성격의 공간들이다. 지상과 지하공간의 대비를 통해 의도적으로 두 가지 공간적 성격을 병치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병치 도시”를 신체로 경험하는 하나의 방법이 된다. 이로써 효창공원의 서로 시간들은 건축적 감동의 배경으로, 도서관은 병치 된 시공간을 부여잡는 힘줄이 된다.


Seoul’s landscapes have one thing in common: juxtaposition. The old and the new, the large and the small, the rustic and the sophisticated, the sacred and the secular, are captured in a single landscape. This unique city, where sometimes strangely disparate times are captured in a single scene, deserves to be called a “Juxtaposed city”.
 Then why were these cities created? It reflects Korea's particular history of turbulent ideologies in the modern era, as they leave physical traces in the city. Hyochang Park is one of the most compelling juxtapositions of temporality in the last 100 years. Beginning as Hyochangwon, the tomb of Moonhyo prince, the site has been used as a golf course by the Japanese, a cemetery for independence fighters by Kim Gu, and a sports field by Syngman Rhee, who envied Kim Gu. Due to the confusion of this heterogeneity, a fence separates the cemetery from the sports field.
 This project considers whether the heterogeneity of Hyochang Park can become a new architectural inspiration. As an alternative, a straight platform is proposed between the cemetery and the playground, where the fence used to be located. A simple straight line, neither the ellipse of a sports field nor any form reminiscent of a cemetery, is placed neutrally between the two disparate elements. Below the straight line is the library. The library, a facility that has long accumulated written time, now relates to the physical place where time has been accumulated. Visitors can freely travel through the time of Hyochang Park with books under a 200-meter-long platform. 

Upon entering the ground floor, the visitor is greeted by a massive beam, like a "Bal"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is is a structural alternative to minimize vertical elements and maximize horizontal transparency, but it also leads the visitor to a certain experiential moment. A part of the cemetery is hidden from view by the graves initially, but when visitor enter the center of the open reading space, the playground and the cemetery spread out in tension on either side. The 3.6-meter-deep beam is woven by 11 600-millimeter-wide ribs, referencing the structure of a ship. Only two cores and three columns support the span of up to 48 meters. The experiential moment created by the structural device allows for a dramatic experience of juxtaposed time.

The basement, meanwhile, houses ancillary facilities such as auditoriums, study rooms, media halls, exhibition halls, and archives, with a rough concrete “underground” that contrasts with the smoothness of the steel structure above ground. The physicality of the materials and the effect of light create a completely different atmosphere to the one above ground. The auditorium with a gabled roof, the exhibition hall with a semicircular space, and the media hall with a labyrinthine space are spaces that cannot be experienced on the ground. The contrast between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spaces deliberately juxtaposes two spatial qualities. This approach becomes a way of experiencing the “Juxtaposed city” physically. Thus, the different time periods of Hyochang Park become the backdrop for architectural impressions, and the library becomes the tendon that holds the juxtaposed time and space together.